1. 패딩 속성 값 사용 방법
2. 패딩 속성
3. Padding 속성 사용하기
* Padding 에서 % 사용하는 방법
안녕하세요 냥장판 입니다
지난 게시글에서는 CSS에 box model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어요.
2020/01/30 - [놀고있네/HTML & CSS] - [CSS] Box Model - 기본 요소
이번 게시글에서는 기본 요소 중 Padding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.
패딩(padding)은 컨텐츠를 둘러싼 공간으로 안쪽여백을 말합니다.
1. 패딩 속성 값 사용 방법
패딩(padding) 속성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length - 특정 길이 단위 사용(px, pt, cm, etc.)
- % - 컨텐츠 요소(content)의 넓이(width)를 기준으로한 비율(%)
- inherit - 부모 요소로부터 상속받는 패딩값(일부 요소에만 적용가능함)
Note: 음수값은 허용되지 않아요!
2. 패딩 속성
패딩의 속성은 아래와 같아요.
- padding
- padding-top
- padding-bottom
- padding-left
- padding-right
사용 방법은 하나씩 살펴볼게요!
style="display:inline-block;width:740px;height:200px"
data-ad-client="ca-pub-9512983930357661"
data-ad-slot="5785466884">
3. Padding 속성 사용하기
가장 첫번째로 padding 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알려드릴게요.
CSS 파일에서 padding을 사용할 때,
padding 뒤에는 최대 4개의 속성값이 올 수 있어요.
속성값의 갯수에 따라 padding에 적용되는 부분이 다릅니다.
규칙은 시계방향으로 적용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!
padding: 하나 - 모든 4개의 면에 적용되구요.
padding: 두개 - vertical(top, bottom), horizontal(left, right)
padding: 세개 - top, horizontal(left, right), bottom
padding: 네개 - top, right, bottom, left
한번 적용해 볼까요?
소스코드는 아래에 올려뒀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|
<!DOCTYPE html>
<html lang='en'>
<head>
<meta charset='UTF-8'/>
<title>Hello, CSS Boxes - Padding 🎁</title>
<link rel='stylesheet' href='box-styles.css'/>
</head>
<body>
<h1>Padding Property</h1>
<p id="p1">Padding: one; - All 4 sides</p>
<p id="p2">Padding: one two; - vertical | horizontal</p>
<p id="p3">Padding: one two three; - top | horizontal | bottom</p>
<p id="p4">Padding: one two three four; - top | right | bottom | left</p>
</body>
</html>
|
cs |
나머지 padding 속성 padding-top, padding-bottom, padding-left, padding-right 는 적용이 쉽겠죠?
style="display:inline-block;width:740px;height:200px"
data-ad-client="ca-pub-9512983930357661"
data-ad-slot="5785466884">
padding에서 % 사용하는 방법
% 속성값 사용을 혼동하시는 분들이 있어요.
포함된 block 넓이(width)에 퍼센트를 곱한 값입니다.
CSS 파일을 아래처럼 작성해 봤어요.
그랬더니 값이 이상하죠? width를 300px로 해놨는데, padding이 각각 54.5??
이건 windows 창 넓이에 비례하기 때문에,
창을 줄이면 줄어들고, 늘리면 늘어나요.
즉, 화면에 대해 유동적으로 조절이 되는겁니다!
아래는 padding에 대해서 직접 실습해 볼 수 있는 사이트니까
꼭 한번 들어가 보시길 추천해드려용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CSS/padding
padding
The padding CSS property sets the padding area on all four sides of an element. It is a shorthand for padding-top, padding-right, padding-bottom, and padding-left.
developer.mozilla.org
그럼 이만!
'🎪 놀고있네 > 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Box Model - Borders (border-image) (4) | 2020.02.06 |
---|---|
[CSS] Box Model - Borders (2) | 2020.02.04 |
[CSS] Box Model - Block, Inline 개념 이해하기 (2) | 2020.01.30 |
[CSS] Box Model - 기본 요소 (4) | 2020.01.30 |
[CSS] CSS에서 Google Fonts 사용하기 (5) | 2020.01.23 |
댓글